#2. 지긋지긋한 그 집 epi. 1
우리 가족은 서울 끄트머리 허물어져 가는 주택에 살았다. 녹슨 초록색 대문을 열면 길게 내진 마당 한 쪽에 벽돌로 쌓은 화단이 있는 집이었다. 지붕은 빗물과 바람에 견딜 수 있도록 천막에 싸여 타이어가 동여매 있었고 화단에는 상추와 고추가 심어져 있었다. 마당 맨 안쪽에는 장독 같은 것들을 올려두는 한 턱 높은 단이 있었다. 화단과 장독대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무려 우물이 있었다. 어른들은 우물의 존재가 위험하다며 무거운 나무판자 같은 것으로 덮어 두었는데 그 안을 한 번도 들여다보지 못한 것이 아직도 아쉽다.
한 겨울에 그 집은 온갖 군데에서 드는 웃풍으로 굉장히 추웠다. 낱장으로 된 나무 유리창이 거실 한 쪽 벽을 차지해서 그런지 거실에 앉으면 한기가 들었다. 엄마는 두꺼운 광목천을 넓게 재단해 커튼을 만들어 달고 기름 난로를 켜 차가운 공기를 데웠다. 아침에 일어나면 공기가 아주 차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했는데 그럴 때마다 엄마는 난로를 켜고 훈기가 돌게 한 다음 나와서 몸을 녹이라고 했다. 그 난로 위에서는 온갖 것들이 구워졌다. 고구마, 감자, 계란, 가래떡, 귤 등을 올려 한 쪽 면이 노르스름 해지면 맛이야 어떻든 맛있는 기분이 들었다. 날이 심하게 추워지면 밤새 물을 쫄쫄쫄 틀어놔도 수도가 자주 얼었다. 엄마는 물을 펄펄 끓여 대야에 부어주고 찬물을 섞어 세수하라고 했다. 그렇게 수고스러운 겨울을 몇 번이나 보냈다.
여름은 집을 온갖 벌레의 집합소로 만들었다. 바퀴벌레는 사계절 내내 있는 예삿일이고 쥐며느리, 콩벌레, 노린재, 지네 등이 자주 기어 나왔다. 밤에 불을 켜면 이름 모를 날벌레들이 형광등을 향해 달려들었다. 아빠는 풀벌레 소리가 들리는 초여름 날을 좋아했다. 마당에서 삼겹살을 구워 먹는 날이면 아빠는 큰 목소리로 떠들었다. '쉿! 들려? 이게 맹꽁이 소리라는 거야. 아~ 여름이다, 여름.'
날이 더워지면 아빠는 팬티만 입고 마당에 나가 돗자리를 깔고 누워 살갗을 태웠는데 나는 그 모습을 보는 게 좋았다. 일주일에 엿새를 새벽녘에 나가 장사하는 아빠가 있는 것만으로 집이 활기를 띠었기 때문이다. 가게를 안 나가는 일요일에도 아빠는 새벽같이 일어나 마당을 쓸고 물을 뿌려 청소를 했다. 청소가 다 끝나면 집안을 돌며 식구들을 깨우기 시작하는데 느지막이 일어나면 축축한 물 비린내가 났다.
유치원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엉덩이를 씰룩대며 종종걸음을 걸었다. 오줌보가 터질 것 같아서였다. 집에 도착한 나는 덮여있던 변기 뚜껑을 열고 소스라치게 놀랐다. 너무 놀라서 금방이라도 쌀 것 같던 오줌도 들어갔다. 성인 여자의 팔뚝만 한 쥐가 변기통에 빠져있었기 때문이다. 지금 생각해도 머리가 쭈삣 서는 광경인데 그 당시에 나는 자리에 얼어붙었다. 온몸에 소름이 돋았다. 정신을 차리고 얼른 엄마에게 전화를 걸었다. '엄마, 화장실 변기통에 엄청나게 큰 쥐가 죽어 있어! 어떡해!!!'. 야단법석을 떠는 나를 보고 엄마는 알고 있었다는 듯 깔깔 웃었다. 변기통의 쥐를 본 후로 나는 아직도 변기 뚜껑 열기가 두렵다. 그런 집이었다. 어디선가 불쑥 쥐가 나오고 불을 켜면 사삭-하고 바퀴벌레가 몸을 숨기는 집. 그 후 그 쥐는 누가 어떻게 치웠는지 모르겠지만, 그곳에선 달갑던 달갑지 않던 모든 것들과 공존해야 했다.
그 집에 대해서라면 나는 종이 한 장이 까맣게 되도록 할 이야기가 많다. 하지만 자존심 강한 우리 엄마에게는 그저 창피한 나날들이었다. 엄마는 그 시절이 너무 지겨웠다고 얘기한다.
내가 아주 어렸을 때 방학동 아파트에서 삼 년간 살았다. 그때 나는 고작해야 서너 살이어서 기억이 거의 없는데 흐릿하게 기억나는 건 부엌에 서있던 아주아주 마른 엄마의 뒷모습이다. 내가 밤에 잠을 안 잘 때 망태 할아버지가 바깥에 있다며 얼른 자는 척하라던 누군가의 목소리도 떠오른다. 그 아파트로 들어가게 되었던 건 아빠의 조급함 때문이었다.
엄마 아빠가 지하 단칸방에서 갓난쟁이인 오빠와 나를 키울 때 친할머니가 말기 암 선고를 받았다. 친할머니의 병을 처음 듣게 된 사람은 둘째 며느리인 우리 엄마였는데 장사를 마치고 늦게 달려온 아빠가 놀라지 않도록 엄마는 단어를 고르며 비보를 전했다. 아빠는 암이라는 어둑한 현실을 부정하듯 목동 이대병원 비상구 계단에서 서있는 채 뒤로 고꾸라졌다고 한다. 그런 할머니의 마지막 염원이 서울에서 힘들게 장사하는 기헌이가 아파트에 사는 것이었다고 한다. 가진 것 하나 없던 나의 부모는 급하게 이곳저곳에서 돈을 빌려 연고도 없는 방학동에 부랴부랴 작은 아파트를 구했다. 하지만 할머니는 결국 아들의 아파트에 가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그 당시 우리 집은 잘 살지 못했다. 굳이 따지자면 가난한 축에 속했던 듯하다. 아파트를 얻느라 빌렸던 돈을 갚자 다시 지하 단칸방으로 들어가야 하는 신세가 되었다. 그리고 우리 엄마에게 마음의 병이 찾아왔다. 그녀는 일주일에 7일 독박 육아를 하며 살았다.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새벽 4시에 나가 저녁 7시가 되어야 돌아오는 남편에게 아이들을 씻겨달라거나 놀아주라는 말을 할 수 없었다. 시장이 쉬는 일요일에 남편이 애들과 놀이동산이나 동물원처럼 재미있는 곳을 가 추억을 쌓아주길 바랐지만 그는 새벽같이 나가 친구들과 등산 가기 바빴다. 그녀는 말리지 못했다. 당신이 살림과 육아를 하며 힘든 것보다 그가 매일 마주할 현실이 더 버거워 보였기 때문이다. 일주일에 단 하루 만이라도 남편이 하고 싶은 것을 하길 바랐던 아내의 사랑이다.
하지만 그럴수록 그녀의 삶은 어두워졌다. 밥맛이 없어지고 자주 멍해지며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았다. 하루는 세 살배기였던 내가 베란다에서 놀다가 장난감을 밖으로 떨어뜨렸다. 떨어진 장난감은 하릴없이 땅으로 곤두박질쳤다. 그 광경을 멍하니 보며 엄마는 생각했다. '어? 떨어지네. 떨어지면 무슨 느낌일까?' 그와 동시에 그녀는 몸의 축을 밖으로 기울였다. 순간적으로 중심을 잃었으나 어린 딸이 옷자락을 당기며 '엄마아!' 하고 소리쳐 바닥에 주저앉았다. 그리고 그녀는 방금 자신이 무슨 짓을 한 걸까 자책하며 소리 내어 엉엉 울었다. 그때 고사리 같은 작은 손이 얼굴로 쑥 들어왔다.
엄마는 지금도 자주 그 이야기를 한다. '엄마는 그때 처음 알았어. 사람이 자살하려고 마음먹고 죽는 게 아니야. 장난감이 밑으로 떨어지는 걸 보는데 순간 나도 떨어져야겠다는 생각이 그냥 드는 거야. 그때 네가 엄마 살린 거야. 네가 '엄마!'하고 안 불렀으면 엄마 정말 떨어졌을 거야. 그 쪼끄만 아기가 엄마 울지 말라고 눈물을 닦아주는데...' 목소리가 떨리며 말끝을 흐리곤 한다. 엄마는 아직도 나에게 고마워하고 있다.
방학동은 외할머니가 살던 녹번동과 꽤 먼 곳이었지만 할머니는 그 먼 길을 오가는 수고를 망설이지 않았다. 딸이 근처에 살 때는 오며 가며 먹을 것을 자주 챙겨주곤 했는데 거리가 멀어지니 밥은 잘 챙겨 먹을지 항상 눈에 밟혔다. 외할머니가 큰맘 먹고 방학동에 들르면 엄마는 눈에 띄게 수척해있었다. 속이 상했다. 할머니는 좀 더 자주 우리 집에 들러 여러 반찬들을 날랐다. 그러다 안되겠는지 본인 집으로 들어와 살라고 했다.
할머니는 살던 집을 내어주고 두 집 떨어진 오래된 빌라 지하방을 얻어 들어가셨다. 그러고는 매일같이 우리 집에 들러 엄마에게 호박 달인 물을 먹였다고 한다. 안 먹겠다고 하는 엄마를 붙들고 '너 이거 먹기 전까지 안 나갈 거야.'라고 말씀하시며 말뚝처럼 앉아계셨다. 그렇게 밤낮으로 할머니는 우리 집에 오셔서 엄마를 붙잡아주셨다. 어렸을 때부터 앙상한 나뭇가지 같던 막내딸이 혹여나 부러져 버리진 않을까 매일같이 들여다보시고 보살펴주셨다. 그때부터 엄마는 다시 살이 붙기 시작했다. 할머니가 내어 준 그 집이 바로 그 오래된 집이다.
-
다음편에 이어집니다.
* 이야기의 흐름을 헤치지 않기 위해 고심해서 쓰다보니
생각했던 분량보다 훨씬 많은 양을 써버렸습니다.
이어질 뒷부분도 기대해주세요. :)